부동산 담보를 기반으로 하는 P2P대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400조에 이르는 가계부채를 고려할 때 급증하는 대출에 대비한 안전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금융감독원이 제출한 자료를 인용해 P2P누적대출액이 올 8월 기준 1조 6741억원에 달해 지난해 12월 6289억원 대비 약 166.2% 급증했다고 밝혔다. 불과 8개월만에 약 1조원 가까이 불어난 것이다.

 

P2P대출은 말 그대로 개인과 개인 간의 대출 개념이다. 은행 등 제도권 대출업체를 거치지 않고 중개업체(플랫폼)을 통해 이뤄지는데, 개인대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당 대출금액이 크고 부동산 담보가 설정돼있어 중개업체의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또 투자수익률이 10%대로 형성돼있고, 투자기간도 1개월부터 36개월까지 짧은 편이어서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은행 예금 이자율이 연 1%대에 머무는 상황에서 갈 곳 잃은 투자금이 P2P대출로 모이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 P2P대출 시장은 이러한 높은 선호도를 등에 업고 성장했다. 지난해 말 125개였던 P2P업체는 올 8월 기준 172개로 47개사가 더 생겨나 40% 가까이 늘어났고, 협회 회원사도 지난해 말 34개에서 올 8월 54개로 60% 가까이 증가했다. 대출종류별로는 부동산 PF, 신용, 부동산 담보, 기타 담보 등 모든 종류의 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역대급 호황’을 맞은 부동산 경기 역시 부동산 P2P대출 성장의 한 축이다. 주택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중이 매년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고 일자리 부족과 고령화로 인해 주택으로 수익을 영위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 국내 P2P대출업체는 작년말 125개에서 올해 8월 172개로 40% 가까이 크게 늘어났다. 출처=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한국P2P금융협회, 크라우드 연구소

문제는 P2P대출을 이용하는 대출자 대부분이 은행권 대출을 받기 어려운 저신용자들이라는 점이다. 또한 원금 손실이 일어날 수 있음에도 부동산을 ‘담보’한다는 점 때문에 투자자들이 안전 상품으로 여기기 쉽다는 점도 주의할 부분이다. 소액을 쪼개 분산투자할 수 있어 손실 위험성을 간과할 수도 있다.

부동산 P2P대출의 위험성은 중국에서 제기된 바 있다. 중국 은행감독관리위원회는 지난해 8월 P2P대출 상한선 총액을 개인 100만 위안, 기업 500만 위안으로 제한하며 대출 규제에 나섰다. 부동산 가격 버블현상의 한 원인으로 P2P대출의 과도한 주택계약금 대출을 지적한 것이다. 아직까지 국내 부동산 P2P대출 규모는 중국에 비할 바는 못 되지만 잠재적 리스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 의원은 “다주택담보대출자들의 과도한 대출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P2P대출의 성장세도 함께 주목해야 한다”면서 “P2P대출의 긍정적 기능을 보완하는 측면에서 투자자 보호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