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말 전세계 재생에너지 비중 추계(출처=REN 21)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용이 원자력이나 화력발전보다 적게 든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 아시아개발은행, 그린피스 등이 회원으로 가입한 ‘재생에너지 정책 네트워크’(Renewable Energy Policy Network for the 21st energy; 이하 REN 21)는 최근 ‘2017 재생에너지 세계 동향 보고서'를 통해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의 신기록이 세워짐과 동시에 어떤 에너지원보다 발전비용이 적게 드는 수단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당장 한국에서는 탈(脫) 원전 정책과 관련된 논쟁으로 인해 에너지원별 단가에 대한 토론이 계속되고 있는 상태에서 국제적 단체의 도발적 주장이 나온 셈이다. 이로 인해 각 에너지 별 전문가들 간의 격론이 예상된다.

REN 21은 2016년 새로 설치된 재생에너지 용량이 총 161기가와트(GW)로 2015년보다 9% 증가한 수치임을 밝혔다. 전체 누적 설비용량은 약 2017 기가와트(GW)로 그 중 태양광이 47%, 풍력이 34%, 수력이 15.5% 비중을 차지했다. 또 REN 21은 덴마크, 인도, 아랍에미리트, 멕시코 등의 사례를 인용하며 “재생 에너지는 킬로와트시(Kwh) 당 5 센트 이하에 공급되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사실상 화력발전이나 원자력 발전보다 낮은 단가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음을 주장한 것이다.

또 REN 21은 “원자력이나 화력과 같은 전통적인 발전 시스템의 ‘기저 부하’는 사실상 신화에 지나지 않는다”고 지적해 에너지 업계에 논쟁거리를 던졌다. “전력 시스템이 충분한 ICT 기술, 에너지 저장 장치(ESS), 전기자동차, 히트펌프 등을 보유한다면 기저 부하(안정적인 발전 기반 역할을 하는 에너지, 주로 화력이나 원자력 등을 의미함)가 없어도 재생에너지 비중을 상당한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고 밝혔다.

▲ 주요 국가별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출처=REN 21)

또 2016년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0.6 기가와트(GW) 가량의 첨단 에너지 설비가 가동을 새로 시작했고, 총 .6.4 기가와트(GW)까지 누적 용량이 확보됐다고 덧붙였다.

다양한 지불 방식과 전력 시스템의 독립이 분산형 전원의 확산을 이끌어낼 것으로 REN21측은 전망했다. 특히 고객이 먼저 전력 단가를 발전공기업 등에 지불하는 ‘선불 방식’(Pay as You Go; PAYG)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 이 시장은 2012년 기준으로 3백만 달러에 불과했지만 2016년에는 2억 2천 3백만 달러까지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물론 REN 21의 이 보고서에 대한 반대 논리도 엄연히 존재한다. 지난 25일 산업자원부 R&D 기획단 주최로 열린 ‘신재생에너지 3020 포럼’에서는 “원자력과 화력 등이 기저 부하로 작동해야만 풍력이나 태양광 등의 발전원도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언급이 나왔다. 이 포럼 내용과 관련해 한 에너지업계 전문가는 “원자력이 완전히 빠지면 엄청난 예비전원이 필요하며 가스 발전으로는 충분한 예비전력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성진기 해상풍력추진단장도 "풍력발전을 더 잘 하기 위해서 원자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풍력의 경우 자연에너지이기 때문에 변동성이 심하다. 같은 논거로 독일의 경우 1분 단위로 재생에너지 변동량을 측정해도 예측이 어려워서 예비 전력을 포함한 140%의 발전을 하고 있다. 40% 이상은 풍력, 태양광 등으로 만들어서 버리는 시스템인 셈이다.

차문환 한화 솔라파워 대표도 “한국 환경상 초대용량 태양광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균등화 발전단가를 낮추는 데 큰 한계가 있고, 지자체의 조례 때문에 대부분의 태양광 설비가 산에 설치되어야만 하는 어려움도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