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견다희 기자] 최근 케이블채널 tvN의 예능프로그램 <현지에서 먹힐까? 중국편>에서 대다수의 중국인들이 길거리에서 판매하는 음식을 결제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꺼내 QR(Quick Response)코드로 결제하는 모습을 봤다.

중국에는 이미 대형마트에서 노점상까지 QR코드가 보편화된 결제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노숙자들도 QR코드로 구걸을 하니, 이는 중국 시장에서 QR코드 문화가 얼마나 발달했는지를 보여주는 방증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중국과 비교하면 한참 뒤처져 있다.

지난 12일 김종인 롯데마트 대표는 ‘전 상품 가격표 QR코드’를 도입했다. 김 대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를 허무는 O2O(Online to Offline)를 넘어 오프라인을 통한 온라인 사업을 지원하고 오프라인에서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O4O(Online for Offline)를 실현시키는 유통 혁신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사실 한국의 대형마트 QR코드 도입은 중국보다 결코 늦지 않았다. 지난 2011년 이승한 전 홈플러스 회장이 시도한 ‘가상스토어’가 있었다. 이후 2012년 5월부터 정부정책에 맞춰 병행수입상품에 대해 QR코드만 찍으면 해당 상품의 품명, 상표, 수입자, 원산지 등 통관정보를 알 수 있도록 ‘병행수입물품 QR코드’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는 관세청에 의해 폐기됐다. 국내 유통시장은 디지털 유통 혁신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그 사이 중국은 광속으로 QR코드 결제 시스템을 정착시켰다.

롯데마트의 QR코드 도입은 의미가 있다. 한국 유통산업은 변화에 직면해 있다. 전통 내수시장 한계를 돌파해야 살아남는다는 절박함 속에 있다. 이미 온오프라인 채널경제는 허물어졌다. 4차 산업혁명은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유통시장 내 최첨단 기법 도입은 국내 유통산업의 혁명을 이끌 것이라는 희망이 되고 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도 앞으로 3년 동안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여부가 앞으로 30년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안타까운 점은 정부의 국내 유통시장에 대한 정책과 규제다. ‘쌍둥이법(유통산어발전법, 대·중소기어상생협력촉진법)’이 지난 10여년간 국내 오프라인 채널 성장 동력의 불씨를 꺼버렸다. 정책의 변화와 시장 발전을 위한 소통과 정책이 절실하다.

현실과 따로 노는 정부 정책으로 기업들의 자구책 마련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과연 기업들의 노력이 멈춘 오프라인 유통 매장을 한 단계 진화시키고 소비자들을 지갑의 족쇄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