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석 헬로펀딩 부대표. 사진=이코노믹 리뷰 박재성 기자

[이코노믹리뷰=정경진 기자] 정부가 금융권에 대한 주택 대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P2P대출로 자금이 몰리고 있다. 올해 8월 기준 P2P업계 누적 대출액이 2조원을 넘은 가운데 P2P대출 수요가 더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P2P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만큼 투자 안전성의 문제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부동산P2P대출은 크라우드 펀딩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다수의 사람들에게 투자금을 모아 부동산에 투자하는 개인이나 업체에 높은 이자로 대출해 수익을 낸다. 일부 업체들의 사기 등으로 안전성 담보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기에 부동산 P2P업체의 가장 큰 바람은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는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지난 2016년 첫 상품을 출시한 이후로 연체 및 부실률 0%를 계속해서 유지해오고 있는 부동산P2P업체인 헬로펀딩 최수석 부대표는 “현재는 부동산P2P산업이 성장통을 겪고 있는 시기”라면서 “향후 P2P관련법이 제정되면서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면 이 산업의 성장 가능성은 더 높아질 것”이라고 바라봤다.

지난 9월 19일 서울 삼성동에 있는 헬로펀딩 본사에서 만난 최수석 부대표는 은행권에서 40여년을 보낸, 금융시장에서 잔뼈가 굵은 베테랑이다.

최 부대표는 “P2P가 국내에서 시작된 건 2014년 말~2015년 초로 당시 누적 대출액은 393억에 불과했지만, 3년이 지난 지금 누적 대출액이 4조원 가까이 되고 있다”면서 “3년이란 단시간 내에 100배 가까이 성장했기 때문에 성장통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바라봤다. 그는 이어 “P2P 자체 법률도 없고 가이드라인밖에 없다 보니 이를 나쁜 방향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생겨 올 하반기가 사실 투자자시장에서는 가장 어려운 시기”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소위 ‘가장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는 P2P시장임에도 불구하고 최 부대표의 눈은 빛나만 보였다.

 

시중은행 벽 여전히 높아… 어쩔 수 없이 대부업체 찾는 사람들

최 부대표는 향후 P2P가 금융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대체 금융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중은행의 벽이 여전히 높아 이를 넘지 못한 무수한 기업가와 자영업자, 개인들은 결국 고금리의 사채시장을 찾을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신용도가 낮아 고금리의 사채를 찾는 만큼, 이들의 자금 사정은 갈수록 악화되지만 그럴수록 제도권 아래에 있는 금융권의 턱은 높아져만 간다.

헬로펀딩을 찾았던 한 중소 브랜드 편의점을 운영하는 편의점 점주는 월매출이 4억원에 달하지만 1금융권으로부터 대출 거절을 당했다. 매번 카드론과 대부업체 등을 이용한 탓에 신용도가 급격하게 낮아졌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수억원의 월매출을 냈음에도 불구하고 왜 그는 카드론과 대부업체만을 이용했을까.

일반적으로 장사를 할 경우 카드매출은 매출이 발생한 날이 아닌 2~3일 후에 카드사로부터 돈이 들어온다. 예를 들면 이렇다. 1일에 한 손님이 식당에서 카드로 1만원을 결제했다면 바로 그 돈이 식당을 운영하는 자영업자의 통장에 들어오는 것이 아닌, 이틀 후 즉 3일에 해당 매출만큼 카드사로부터 돈이 지급된다. 매출 발생 후 2~3일 내에 정산이 되는 것이 무엇이 문제일까 싶지만 실제 상황은 그렇지 않다.

최 부대표는 “대다수의 소상공인은 오늘 번 매출로 내일 장사를 준비한다”면서 “매출이 발생해도 당장 들어오는 것이 아닌 데다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8개 카드사마다 정산일이 다르다보니,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소상공인 입장에서는 당장 하루, 이틀을 버틸 자금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연 매출 3억원 이하 소상공인은 현재 197만개로 이들 월 평균 매출은 약 18조원에 달한다. 국내 한 전자결재회사에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시장 분석에 따르면 이들의 50% 이상이 사채 즉 대부업체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이 필요로 하는 상품, 즉 일 단위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금융기관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결국 자영업자들은 고금리의 사채를 빌려다 쓰면서 신용도가 하락해 시중은행의 벽은 쳐다볼 수조차 없을 정도로 높아지게 된 것이다.

최 부대표는 “일반적으로 소상공인들이 쓰는 사채는 일수로 이자가 책정돼 일일 10%대 정도 금리를 내며 사채를 빌려서 써 큰 부담이 없을 수도 있지만, 연 이자 수준으로는 4000%에 육박하는 초고금리다”라면서 “물론 2~3일 빌려 쓰는 이들 입장에서 연 10%대 이자는 큰 부담이 없을 수도 있겠지만, 결국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쳐 시중은행 대출은 꿈도 못 꾸게 된다”고 말했다.

시중은행의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높은 규제정책을 펴다 보니 정작 금융의 사각지대에 높인 이들이 갈 곳이 없어지고 금융의 공백은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최 부대표의 시각이다. 현재 헬로펀딩은 소상공인들이 대부업이 아닌 정상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으면서 사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시중은행과 시스템 개발에 나섰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소상공인 핀테크론’ 상품을 최근 내놓기까지 했다. 이 상품은 기존 사채 일일 수수료가 10%인 것을 대폭 낮춰 대출이자를 0.1% 수준으로 설계했다. 그리고 이 수수료의 절반은 ‘소상공인 핀테크론’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수익으로 돌아간다. 일 수수료가 0.1% 수준이라고 해도 투자자는 연 12% 이자를 받는 셈이다.

최 부대표는 금융시장의 벽을 넘지 못해 사각지대에 놓인 곳은 물론 최근 심화된 규제로 P2P시장이 새롭게 열릴 것으로 바라봤다. 현재 정부는 1주택자도 실수요 목적이 아닌 이상 주택담보대출을 규제하고 있는 상황이며 2주택자 등 다주택자의 주택담보대출은 아예 차단했다.

최수석 헬로펀딩 부대표. 사진=이코노믹 리뷰 박재성 기자

위기 후엔 기회… 2019년 “시장 변곡점 올 것… 2,3년 후 상장 계획”

최 부대표는 올해의 위기가 지나간 이후 내년부터 시장이 점차 안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바로 P2P독자법률이 만들어지면 P2P시장이 제도권 안으로 들어가면서 투자자 보호가 한층 강화되기 때문이다.

현재 업계는 P2P대출 제정법안이 국회를 통과할 전망이 나오고 있다. P2P법안 연내 통과 가능성은 꾸준히 제기되던 것으로 정치권에서도 P2P법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P2P대출업 관리감독 강화를 위해 국회에 발의된 법안은 현재 총 5개로 이 중 3개가 제정법안, 2개는 개정법안이다. 업계에서는 기존 법률 개정 대신 P2P대출시장을 위한 자체 법률을 만들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용자 보호 강화도 필요하지만 핀테크 시장 활성화 역시 이뤄야 하는 과제이기 때문이다.

최 부대표는 “독자법률이 나와서 규제를 강하게 하면 투자자들이 그만큼 신뢰가 생기게 된다”면서 “핀테크 산업 육성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서는 P2P 자체 법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법안의 제정 말고도 P2P업계를 웃음 짓게 하는 호재는 하나가 더 있다. 바로 이자소득세율이 인하된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P2P투자한 투자자들은 투자수익금에 대한 세금을 25% 냈다. 이처럼 높은 세율의 이유는 P2P투자에 대해 ‘대부업 규정’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P2P투자로 이자소득 100만원을 거둬도 25만원을 이자소득세로 냈다. 그러나 앞으로는 P2P업체나 연계회사가 금융관련 법령에 따라 인허가를 받거나 등록한 경우에 한해 이자소득세율이 14%로 낮춰지게 된다.

최 부대표는 “앞으로 P2P시장은 투자 수익률이 높으면서 안정성도 담보되고 세금도 정상적으로 이뤄지는 재테크 수단으로 떠오를 것”이라면서 “내년이 바로 퀀텀점프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헬로펀딩은 오는 2020년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포부도 밝혔다.

최수석 부대표는 “피투피 회사 중 2년 반 동안 연체율 0%를 유지하고 있는 곳은 헬로펀딩이 유일할 정도”라면서 “현재 상황에서 수익이 전년 대비 20~30% 이상은 나올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은 특히 헬로펀딩의 성장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2020년 이익 규모를 최고 100억원 이상으로 목표하고 있으며 이 같은 목표가 달성된다면 상장할 것”이라면서 “이 시장은 계속 변화하고 있는 만큼, 시장변화 대응력을 지니고 있는 다양한 상품 취급이 성장의 주요 요소로 떠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