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8년 박영덕화랑 전시전경

While referring to ‘frottage’ and ‘imagizing’, l was drawn by Park's idea at the ‘encounter’ between the days gone by and the moment in reality. In earlier days, Park used for this ‘encounter' such various acts and objects as tearing, making speckles, butterfly, squid, kite, leaves or trees, letters and windows. As seen in the serial works of <The sound> and <Window-Frottage>, he tried to leave as many traces as possible, piling up layers and layers of images.

‘찍기’ 와 ‘이미지化’를 말하면서 그 당시 내가 그에게(ARTIST PARK CHUL,서양화가 박철) 눈 여겨 두었던 것은 이것들이 앞서 그의(화가 박철) 언급에서 나타난 과거와 현재의 ‘만남’이라는 아주 평범한 아이디어였다. 초기에 그가 만남을 위한 작업에 등장시켰던 것은 ‘音’, ‘窓-찍음’연작들을 중심으로 도입한 찍음과 얼룩, 나비, 오징어 연, 나뭇잎, 문자, 창문 등으로 열거될 수 있었다. 그는(박철 화백,朴哲,박철 작가) 이것들을 소재로 하거나 그 위에다 흔적으로 남길 수 있는 한, 찍음에 의해 이미지들을 중첩시키고자 했다.

▲ Ensemble 98-3, 100×163㎝, Korean paper Natural dyes, 1998

After the entry in the Sao Paolo Biennale in 1983 with his earlier efforts, he came to need some 4 years of quiescence. However, from 1989 till 1991, he again come to the attention with the main motifs of window frame and straw mat inserted in more serious and solid plane. After the attempt to embody the patterns of encounter through the image of raindrops on the window pane, this time he was bent on another experiment to ‘imagize’ the encounter through the window frame and the straw mat.

83년 상파울로 비엔날레에 초기계열의 역작을 출품한 이후 4년간에 걸친 휴지기(休止期)를 거쳐 89년에서 91년에 이르는 기간에는 창틀과 멍석이 주요 모티프로 등장하면서 화면은 중후하고 견실해진 성가를 보이는 변화를 가져 왔다. 과거와 현재의 만남의 전형을 유리창의 빗물이미지에서 찾았던 초기를 벗어나 창틀과 멍석에서 만남의 ‘이미지化’를 시도한 것은 제2기의 가장 커다란 특징 중의 하나라 할 수 있었다.

▲ Ensemble 98-17, 75×120㎝, Korean paper Natural dyes, 1998

Park himself recalls those days as follows: “When i began lecturing at the Art Department of Andong National University in Kyungsang-buk-do in September 1985, I came upon a lucky break, which was wholly unexpected. Though I’ve recognized early enough that the housing type in Andong area has retained its conventional peculiarities intact, the days in Andong kindled in me a new aesthetic sensibility toward our own traditional beauty. As i was born and grew up in a remote rural village myself, i felt glad and even grateful to find again the archetype of our ancient housing with nothing changed much amid the whirlwind of modern civilization. It struck me almost miraculous.

그 당시를 화가 박철(한지화가 박철,HANJI ATIST)은 이렇게 회고하였다. “1985년 9월부터 경북 안동대학 미술과에서 강의를 시작하게 됨으로써 뜻하지 않은 행운이 찾아 왔다. 점촌태생인 나로서 일찍부터 깨닫고 있었던 것이지만 안동지역의 가옥형태가 유난히 한국적이라는 것을 확인했던 것이다. 더불어 신기하게도 이 순간의 현대 문명 속에서 고가의 원형이 고스란히 보전되어 왔다는 사실에 반가움과 고마움을 느꼈다.

▲ 1998년 박영덕화랑 전시외부전경

Then, a year later, when the construction of lnha dam near Andong area began, people had to leave their cheished homes and grounds of life because of the newly formed waterlogged areas caused by the construction. Having long kept special attachment to the old things of our people since my childhood, I began to gather together in the ruins the fragments of remnants. With my own heart broken, too, I collected the broken door frame, pieces of patterned tiles and roofing tiles, farming tools. horse saddles, straw mats and so on.(MisulSegye. July, 1987)”

그러던 86년 어느 날 안동 근교의 임하댐 공사가 시작되고 수몰 지구가 생겨나자 주민들은 정들었던 집과 터전을 두고 떠나야만 했다. 어린 시절부터 우리의 옛것들에 대한 애착과 애정을 키워 왔던 나는(한지부조회화 박철,KORAN PAPER,박철 화가)수몰지역에 무참히 버려진 문짝들, 부서진 와당, 허물어진 기와, 농기구, 말안장, 멍석을 수집하는 데 아픔을 갖고 골몰하였다.”(미술세계, 1987.7)

△글=김복영, 미술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