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메리츠종금증권

[이코노믹리뷰=김동우 기자] 오는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국내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1990년 서독과 동독의 통일사례를 참고하면 그 이전부터 주가상승이 선반영됐으며 통일 이후에도 외국인 자금 유입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3일 메리츠종금증권은 ‘통일공감’ 보고서에서 독일 주식시장은 통일 이후 우상향의 궤적을 보였지만 통일 전부터 주가에 기대감이 선반영되며 상승했다고 밝혔다.

통일 이후 독일시장에 대한 외국인 자금유입이 빠르게 진행됐다. 1990년 194억 마르크 수준이었던 외국인 포트폴리오 투자는 7년 뒤인 1997년 1559억 마르크로 8배 급증했다. 이진우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통일 이후 비용에 대한 부담감이 존재하지만 장기 성장성에 기댄 자금유입의 결과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통일 이후 외국인 자금이 유입된 독일의 사례처럼 국내 주식시장에도 긍정 흐름이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진우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금융시장은 당장 통일이 아니더라도 북한의 비핵화 흐름을 넘어선 경제적인 변화 및 협력이라면 선반영 가능성이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통일로 인한 편익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독일과 유사하게 외국인의 직간접 투자 증가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자료=메리츠종금증권

업종별로는 소비시장 확대와 인프라 투자 증가 기대로 식음료, 건설, 산업재 업종에 대한 기대가 클 것으로 봤다. 독일 경우에도 통일 후 3년간 가장 크게 성장했던 업종은 은행, 보험, 통신 등 시스템과 인프라 구축 관련 업종이다.

통일 후 서독의 동독지역으로의 민간투자 지원정책(저리의 장기대출, 지급보증, 세금혜택 등)으로 동독지역에 대한 민간투자가 급증했다. 91년부터 96년까지 동독지역에 대한 민간 투자액은 7980억 마르크(옛 서독통화)에 달했다.

보고서는 또 통일이 곧바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는 힘들다고 분석했다. 독일의 경우 통일 이후 장기적으로 증시가 우상향을 보인 것은 사실이지만 실적 개선시점부터 본격적인 주가상승이 이뤄졌다.

독일은 베를린 장벽이 붕괴한 1989년 11월 이후 주가가 다시 급등했지만 정작 통일이 공식화한 1990년 10월 이후에는 통일비용 우려 등의 영향으로 큰 폭으로 내렸다.

한국도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보다는 정부의 통일 관련 정책과 그에 따른 산업의 수혜가 구체화되는 시점에 주가가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통일 이후 독일 주식시장 밸류에이션은 상향됐지만 이는 실적감익에 따른 착시 효과였다. 본격적인 밸류에이션 팽창은 기업 실적 개선세가 시작된 1993년 이후였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 역시 밸류에이션의 팽창은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보다는 구체적인 정책 윤곽, 그로 인한 산업의 수혜가 구체화되는 시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남북한 통일비용은 최대 500조원 이상이 소요될 것이라고 봤다.

이 연구원은 “화폐 통합의 부작용과 통일 이후 비용 문제가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기존 연구들에 따르면 남북한 통일 이후 통일비용이 최대 500조 이상 소모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