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 수소전기차 넥쏘. 사진=현대자동차

[이코노믹리뷰=장영성 기자] 현대자동차의 차세대 수소전기차 '넥쏘(NEXO)'가 예약판매 하루 만에 700대가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예약이 몰리면서 보조금 지급분이 하루 만에 동났다. 특히 수소차 충전소는 독일이 이미 50개를 구축하고 400개까지 늘릴 정책을 펼치고 있는반면 국내에는 실질적으로 8개에 불과해 수소차 상용화를 정부가 가로막고 있는 꼴이다. 

보조금은 지자체에 자동차 등록 순으로 지급된다. 현대차는 사전예약 순으로 자동차를 출고할 예정이다. 정부의 추가 지원 없이는 보조금 지급이 어려운 상황이다. 

일반 소비자가 사용 가능한 수소 충전소 인프라도 부족하다. 게다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국내 수소 충전소 인프라 구축이 지지부진해 우려의 시선도 만만찮다. 

'예산 부족'...올해 수소차 보조금 지급 240대 한정 

20일 현대차에 따르면 전날 예약판매를 개시한 넥쏘가 총 733대가 예약했다. 이는 올해 보조금 지급 대수 240여대의 3배가 넘는 규모다.

넥쏘 예약이 몰리면서 넥쏘의 정부 보조금은 19일 하루 만에 소진됐다. 올해 환경부가 책정한 수소전기차 국고보조금은 대당 2250만원씩 158대에 지급 가능하다. 지난해 이월된 금액까지 포함되면 총 240여대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보조금 지급은 차가 출고된 뒤 지자체에 자동차 등록하면 받게 된다. 즉, 지자체에 등록한 순서대로 보조금을 지급한다. 현대차가 어떠한 순서로 구매자에게 차를 출고하느냐에 따라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현대차 관계자는 “모든 출고 시스템은 전산 등록순서로 진행된다”면서 “넥쏘 차량 출고는 사전예약을 먼저 신청한 사람부터 순차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사전예약시 올해 보조금 지급 가능대수인 약 240대 이후에 신청한 소비자는 보조금 지급 여부가 불투명하다.

현대차 관계자는 추가 보조금 지급 여부와 관련해 “정부에서 추경으로 보조금을 지원해주지 않는 이상 구매자에게 보조금을 지원해주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넥쏘의 지자체 보조금은 미확정이나, 대당 1000만~1250만원 수준으로 국고보조금 대수(올해 240대)내에서 책정된다. 즉 국고보조금을 받는 차량에 한해 지자체보조금도 지급된다는 얘기다. 

지자체보조금 최대 1250만원에 국고보조금 2250만원을 더하면 넥쏘 모던은 3390만원(원가 6890만원), 프리미엄은 3720만원(〃7220만원)으로 중형 SUV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하루 만에 사전예약 733대…사용 가능 충전소는 8개

전날 예약판매를 개시한 넥쏘는 서울 227대, 울산 238대, 광주 156대, 창원 78대, 기타 34대로 총 733대가 예약 됐다.

사전예약 단계부터 돌풍을 일으키고있는 넥쏘는 구매해도 충전이 불편해 실생활에서 일반 자동차와 같이 활용하기는 어렵다. 충전소 인프라가 확충될때까지 운행을 하지못하고 주차장에 대기해야 하는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자동차부품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는 총 15개 수소충전소가 있다. 이중 강릉, 평창, 여주(휴게소) 등 3개소는 평창올림픽을 대비해 설치된 임시 충전소다. 임시 충전소는 계속 운영할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임시 충전소를 제외한 12개소 중 서울 2개소(양재, 상암), 경기도 화성 2개소, 용인, 인천 송도 등 6개소는 연구용이다. 이 외에 울산 2개소, 광주 2개소, 경남 창원, 충남 내포는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이 운영하고 있다.

이 중에서 일반인들이 충전가능한 곳은 지자체·민간이 운영 중인 6개소와 서울 2개소 등 총 8개소에 불과하다.

울산에 설치 중인 4개소를 포함할 경우 올해 안에 수소충전이 가능한 곳은 12개소에 이를 전망이다. 추가로 환경부와 지자체·민간이 각각 8개소, 10개소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넥쏘의 판매 물량을 충족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일본은 2025년까지 320개, 중국은 2030년까지 1000개 수소충전소 인프라 구축을 목표하고 있다"면서 "주변 국가뿐만 아니라 독일도 2030년까지 400개 충전소 인프라를 구축을 목표로 저변을 넓혀가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우리는 환경부따로 국토부 따로 수소 충전소 인프라 구축안을 내놓고 있다. 환경부는 오는 2020년까지 수소차 충전소 100개, 국토부는 2025년까지 복합휴게시설을 갖춘 충전소 200개를 목표로 잡고 있다. 그러나 확정된 사항은 아니어서 언제든 뒤집어 질 수 있는 상황이다.  

이 관계자는 이어 "수소차 개발능력과 양산기술은 세계 최고인데 인프라 투자 정책 지원 부족으로 주도권을 잃어가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자동차 산업 트렌드 전환 시기에 국가 경쟁력을 마련하는 수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정부가 미래차 산업을 키우기 위해선 전기 충전소뿐만 아니라 수소 충전소 인프라 구축을 위해 1990년대후반 휴대폰 단말기 보조금 지급을 했듯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줘야 한다"면서 "과거 LPG도입 때와 비교해도 정부 지원없이 미래차 상용화 산업을 일으키는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