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성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19일 열린 가운데,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의 희비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는 일단 지상파에는 호의적이다. 중간광고 허용과 KBS 수신료 인상, 나아가 지상파 UHD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반면 종편에 대해서는 견제 일변도다. 의무전송 대상에 4개 채널이 들어가 있는 것은 너무 많다며 만약 방통위원장이 된다면 이를 점진적으로 조절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지상파 UHD 활성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가?  이 후보자는 지상파 UHD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가능성을 타진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으나, 넘어야 할 ‘난관’도 상당히 많다. 우여곡절 끝에 지상파 UHD 방송이 시작됐으나 ATSC와 DVB-T2 방식의 충돌을 비롯해 안테나와 컨버터 구입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이다.

당장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정의당 추혜선 의원이 인사청문회 현장에서 재차 강조했지만 ‘지상파 UHD 방송 전환 특별법’의 필요성은 사업 초기부터 꾸준히 나왔다. 2015년 12월 미래부와 방통위가 지상파 UHD 방송 도입을 위한 정책방안을 발표하며 2020년 이후 법 제정을 검토하겠다고 했으나, 이미 본방송을 시작한 상태에서 너무 늦다는 반론이 나오고 있다.

시청자 지원 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지상파 UHD 방송은 5월31일에 수도권 송출을 시작으로 12월에는 광역시권과 강원권(평창 올림픽 개최지 일원), 2020년부터 2021년에는전국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적극적인 시장조사에 나서야 지상파 UHD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논리다.

UHDTV에 기본으로 탑재돼 있는 무선랜 기능처럼 지상파 UHD 수신을 가능하게 만드는 안테나 내장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다. 현재 TV에는 기본으로 안테나를 연결할 수 있는 ‘안테나 입력’ 단자가 있다.  이 때문에 TV 신호가 양호한 지역에서는 무선랜 기능처럼 내장 안테나를 사용하고 TV 신호가 약한 지역에서는 유선랜을 연결하는 등   실내외 안테나를 사용해 안정적인 수신환경을 만들자는 말이 나오고 있다.  가전사가 난색을 표하고 있어 지상파 방송사는 꾸준히 설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마지막으로 범용 컨버터를 만들고 가격을 제조정하는 방식으로 지상파 UHD 환경을 재조성하는 것도 대안으로 꼽힌다.

관건은 정부의 의지다. 지상파 UHD 방송이 시작됐으나 전송방식의 충돌과 가전사와의 협력이 요원한 상태에서 실질적인 시청자 숫자는 늘어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  후보자가 실제 임명될 경우 지상파 중심의 새로운 정책을 추구할 가능성도 높다. 지상파 일각에서는 “지상파 UHD의 성공여부에 따라 지상파의 미래가 결정될 것”이라면서  “이 후보자의 취임이 현실이 되면 정책적 차원에서 통신사에 밀리던 지상파 방송기술의 위상도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