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국민은행

100KW 규모의 ‘태양광 농사’를 위해 약 2억3000만원 정도를 투자할 경우 220만원 대의 월수입이 예상된다는 계산이 나왔다.

이코노믹리뷰가 태양광업계에 의뢰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은행에서 1억 정도의 대출을 받고(대출이자 3% 기준, 개인 신용도는 상이, 농어촌 공사에서는 1.3%) 보험을 들 경우(재난재해보험은 100KW기준 월 4~5만원 예상) 연간 투자 순수익은 2876만원 가량인 것으로 나타났다(1년 차).

12년 간 대출금과 이자를 상환하며 원금까지 뽑을 경우 매년 평균 수익률은 17%에 달하고, 그 이후부터는 고정적으로 전기를 판매하며 온전히 16%에서 18% 사이의 수익률 기준으로 이익을 거둘 수 있다.

출처 =메가솔라

그러나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도 있다.

태양광 발전으로 인한 전기 가격 체계 때문이다. 전남 고흥에서 태양광 발전 사업을 하고 있는 김 모 씨는 “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를 뜻하는 REC가 결국 가격 입찰에 부쳐 지기 때문에 연말이 되면 투매 현상이 벌어져 전체 전기 가격을 하락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김 씨는 “태양광 발전 사업자들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데, 이렇게 되면 전기 자체가 희소성이 떨어져서 나중에는 공급 초과로 인한 가격 하락 국면을 면치 못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다른 태양광 발전 사업자인 서울 강서구의 강 모 씨도 비슷한 지적을 했다.

강 씨는 “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REC 가격에 가중치까지 붙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가격 변동 상황이 매우 심한 편이다”라고 언급했다. 물론 태양광 설비나 각종 인프라 구축 비용이 싸지면서 초기 투자 비용이 낮아진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기계의 고장률이나 효율 등은 여전히 문제다. 강 씨는 “전체적으로 10년 전보다 1/10 가격 규모로 태양광 설비 비용이 싸졌다. 그러나 설비 고장에 대한 대응이 부족하다는 점도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농촌태양광은 농민들 입장에서는 태양광 발전 부지 확보가 용이하고 어느 정도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이다. 다만 SMP와 REC 가격의 합산가로 고정 구매해 주는 프로그램이 올 초부터 도입되었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 사업 참여에 따른 이익 여부를 따져 보려면 조금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또 개별 농가가 태양광에 투자하는 경우도 많지 않았다.개인이나 사업자들 이외에 조합 형태의 태양광 에너지 발전 사업 참여도 가능하다. 지자체, 공기업 등이 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을 주도하고 주민들이 일정 수익률을 보장받고 출자 기회를 보장받는 사례다. 1호 서울 햇빛 발전소가 대표적이다. “지역 단위의 조합이나 주민 참여형 에너지 기업이 참여할 경우에는 REC 가중치를 올리는 방안도 논의된 바 있다”고 한국에너지공단 관계자는 이야기했다.

2017년 7월 현재까지 농업진흥지역(절대농지)을 제외한 농지에 태양광 발전 설비의 설치가 가능하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100 KW 태양광 발전소를 10만 개소까지 보급하여 10 GW의 농촌 태양광 기반이 갖춰질 경우에는 농지 면적의 1% 미만이 소요된다고 한다(개당 400평 소요 시). 따라서 지역 주민들의 인식이나 지자체의 규제 등이 태양광 발전 확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고려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